외교부, 이스라엘 전역 여행경보 ‘특별여행주의보’ 발령

정부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으로 무력 충돌이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내렸다. 사진은 박진 외교부 장관이 주이스라엘 한국대사관 관계자 등이 참석해 개최된 대책 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 외교부 제공.
정부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공격으로 무력 충돌이 벌어지고 있는 이스라엘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외교부는 8일 현지 상황을 고려해 기존에 ‘여행자제’(여행경보 2단계)를 권고해온 이스라엘 내 지역에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여행경보는 1단계 여행유의·2단계 여행자제·3단계 출국권고·4단계 여행금지로 구성되며,외교부이스라엘전역여행경보특별여행주의보발령 특별여행주의보는 이와 별도로 단기적으로 긴급한 위험에 대해 최대 90일간 발령된다.
특별여행주의보 수위는 여행자제 경보보다 높은 2.5단계에 해당한다.
하마스가 통치하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는 이미 지난 7월 긴장 고조에 따라 4단계 여행금지 지역으로 지정된 상태다. 여행금지 지역에 한국 국민이 체류하려면 정부로부터 예외적 여권 사용 허가를 별도로 받아야 한다.
또 팔레스타인 서안 지역과 가자지구 인근 5km에는 3단계 출국권고 경보가 적용되고 있다.
현재 이스라엘 지역에 장기체류하는 한국인은 570여명인 것으로 정부는 추산하고 있다. 이에 더해 약 360여명의 관광객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교부는 “현재까지 공관에 접수되거나 파악된 우리 국민 피해는 없으나 교민 및 여행객들에게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도록 안내하고 있다”며 “가능한 한 제3국으로 출국하기를 권유하며 신규 입국은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박진 외교부 장관은 이날 오후 현지에 주재하는 한국 공관과 외교부 본부를 연결한 화상 회의를 열고 현지 상황과 체류 국민 보호 대책 등을 점검했다.
박 장관은 국민들의 안전 상황을 계속해서 파악하고, 현지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본부와 공관이 긴밀히 협력해 체류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해 철저히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하마스는 유대 안식일이던 7일(현지시간) 오전 이스라엘 남부 스데롯·아슈켈론과 중부 텔아비브·헤르츨리야·네타냐, 그리고 수도 예루살렘 등지를 겨냥해 수천발의 로켓포를 발사하는 공격을 감행했다. 또 이스라엘 남부의 가자지구 인근 지역엔 하마스 전투원 수백명이 진입해 이스라엘 군경과 교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대국민성명에서 하마스의 이번 공격을 '전쟁'으로 규정하고 '보복' 공격을 명령했다. 이런 가운데 레바논의 이슬람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도 8일 이스라엘 북부 지역에 대한 공격에 나서 그에 따른 피해가 계속 커지고 있다.
외신들에 따르면 현재까지 이스라엘에선 하마스의 공격으로 300여명이 숨지고 1800여명이 다쳐 사상자 수가 2100명을 넘어섰다. 또 팔레스타인 측도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가지지구에서만 250여명이 사망하고 170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고 밝혔다.
相关文章:
- New government initiative offers W3b reward to combat digital piracy
- Yoon's approval rating edges up after 6
- SK Earthon starts first independent oil production in South China Sea
- '코로나 봉쇄' 북한, 국경 열었다…3년8개월 만에 외국인 입국
- MBK chairman makes donation to promote Korean art at New York's Met
- N. Korea scheduled to hold key parliamentary meeting following Kim
- Seoul shares tumble to 5
- [Herald Interview] As a wanderer, Yoshitomo Nara does not confine himself to art
- SC Bank Korea CEO nominated for fourth term
- [Bills in Focus] Holding CEOs accountable for lack of internal financial control
相关推荐:
- Beef prices have soared 100
- Benois de la Danse winner Kang Mi
- Posco to build joint venture with US grain company
- Broadcom to appeal S. Korean regulator's fine over unfair Samsung Electronics deal
- USS Carl Vinson deploys for Indo
- Over half of Koreans want continuous strengthening of alliance with US: poll
- Posco to build joint venture with US grain company
- [Herald Interview] Love is what defines artist Dawn
- USS Carl Vinson deploys for Indo
- 4th Global Biz Forum kicks off to discuss 'next prosperity'
- [Korea Beyond Korea] In Paris, soaring demand for Korean studies yet to be fully met
- 이준석, 눈물의 회견…尹대통령 향해 "與 묵언 수행 저주 풀라"
- 北, 日의 장거리미사일 조기 배치 추진에 “전쟁국가 일본 실체”
- Biden says Hamas must be eliminated, US officials warn war could escalate
- [Top Envoy] Russian satellite help not likely priority for North Korea: Chun
- 北, 러시아 외무장관 방북 발표…내달 18~19일 방문
- Supporters of Israel hold rally in Seoul, urge Hamas to stop atrocities
- Foreign workers' deaths get weak sanctions
- 윤 대통령 “국민소통·현장소통·당정소통 강화하라”
- S. Korea set to open largest
- N.Korea could use nuclear weapons at any stage of conflict: Pentagon
- [From the Scene] Whimsical circus workshop offers fun workout
-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20만장 살포…"더 많은 정보, 계속 보낼 것"
- The many regional flavors of songpyeon, a Korean holiday dessert
- JTBC drama ‘Reborn Rich’ goes to Emmys
- [Korea Beyond Korea] ‘More cross